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국민연금, 앞으로 더 늦게 받아야 하는 거 아냐?" 최근 고령화와 연금 재정 이슈로 인해 수령 나이 조정 논의가 다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현재 국민연금 수령 나이와, 향후 변경 가능성, 그리고 조기수령·연기수령 조건까지 정리해드립니다.
🔍 현재 국민연금 수령 나이는 몇 세부터?
2025년 현재, 국민연금은 출생연도별로 수령 가능 나이가 다릅니다.
기본적으로는 만 60세 ~ 65세 사이에 시작되며, 출생연도가 늦을수록 수령 나이도 늦춰집니다.
출생연도 | 정상 수령 나이 | 조기수령 가능 나이 |
---|---|---|
1953년 이전 | 60세 | 55세 |
1954~1956년 | 61세 | 56세 |
1957~1960년 | 62세 | 57세 |
1961~1964년 | 63세 | 58세 |
1965~1968년 | 64세 | 59세 |
1969년 이후 | 65세 | 60세 |
📢 2025년 이후 수령 나이, 정말 바뀔까?
정부는 국민연금 재정 안정화를 위해 '수령 개시 연령 연장'을 검토 중입니다.
공식 확정은 아직 없지만, 2070년까지 수령 시작을 68세로 연기하는 방안이 논의된 바 있습니다.
즉, 지금 40~50대라면 수령 시점이 65세 이상으로 늦춰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 조기수령과 연기수령, 무엇이 다를까?
✔ 조기수령 제도
- 조건: 정상 수령 나이보다 최대 5년 먼저 신청
- 나이: 예: 65세 → 60세부터 신청 가능
- 감액률: 매년 6%씩, 최대 30% 감액
- 주의: 한 번 신청하면 변경 불가
✔ 연기수령 제도
- 조건: 수령을 최대 5년 늦출 수 있음
- 증액률: 매년 7.2%, 최대 36% 증액
- 유리한 경우: 건강이 좋고 장수 가능성 높을 때
💰 수령 시기별 연금액 예시
수령 나이 | 예상 수령액 (기준: 65세 수령액 100만 원) |
---|---|
60세 (조기) | 약 70만 원 |
65세 (정상) | 100만 원 |
70세 (연기) | 약 136만 원 |
✅ 마무리: 내 연금 전략, 지금부터 준비하자
2025년 현재는 수령 나이가 그대로 유지되지만,
앞으로는 점점 늦춰질 가능성이 높은 만큼 개인 연금, 퇴직연금, 저축 등을 함께 준비해야 합니다.
또한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서 모의 수령액 계산을 통해 나에게 가장 유리한 수령 시점을 확인해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