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전세든 월세든, 이제는 ‘신고’가 필수입니다. 모르면 손해보고, 몰랐다가 과태료까지 물 수 있는 주택 임대차 계약 신고제! 2025년을 맞아 확 바뀐 제도 핵심 꿀팁 5가지만 콕 집어 알려드립니다.

     

    주택임대차계약신고제
    주택임대차계약신고제

     

     

     

     


    ✅ 꿀팁 ① 신고는 ‘선착순’이 아닙니다. 기한 내에만 하면 OK

     

    계약 체결일로부터 30일 이내에만 신고하면 됩니다.
    “서두르지 않아도 되지만, 절대 넘기지 마세요!”
    계약일은 계약서에 명시된 날짜가 기준입니다.

     

    주택임대차계약신고서


    ✅ 꿀팁 ② 확정일자 없이도 보증금 보호 가능

     

    이전엔 확정일자를 따로 받아야 했지만, 신고만 해도 자동으로 확정일자 부여!
    전입신고까지 완료되면 보증금에 대한 우선 변제권 확보됩니다.

     

     

    주택임대차계약신고서


    ✅ 꿀팁 ③ 계약 금액 바뀌면 ‘갱신 신고’도 꼭!

     

    계약을 연장하면서 보증금이나 월세 금액이 달라졌다면, 그 역시 30일 이내 재신고 대상입니다.

    ※ 단, 금액 변화 없는 ‘묵시적 갱신’은 신고 대상 아님

     

    주택임대차계약신고서


    ✅ 꿀팁 ④ 온라인 신고는 24시간 가능

     

    주말이든 새벽이든, 언제든지 신고 가능하니 편할 때 이용하세요.

     

     

     

     

    주택임대차계약신고서


    ✅ 꿀팁 ⑤ 과태료는 안 낼 수도 있습니다 (최초 1회 한정)

     

    제도에 익숙하지 않은 경우, 1회에 한해 과태료를 감면해주는 ‘선의의 실수 구제제도’가 있습니다.
    단, 반복된 위반은 예외이니 처음부터 잘 챙기세요.

     

     

    주택임대차계약신고서

     


    📌 번외 정보: 신고 대상인지 헷갈릴 땐?

     

    기준 신고 여부
    보증금 4,000만 원 / 월세 20만 원 ❌ 신고 의무 없음
    보증금 8,000만 원 / 월세 0원 ✅ 신고 대상
    보증금 3,000만 원 / 월세 50만 원 ✅ 신고 대상

     

    주택임대차계약신고서

     


    🔎 마무리 한 줄 요약

     

    주택 임대차 계약 신고제는 단순한 행정 절차가 아닙니다.
    당신의 권리를 지키는 안전장치라는 걸 잊지 마세요!

     

    주택임대차계약신고서

     

    반응형